우당탕탕 개발일기
[Http/Https] 보통 포트번호를 80 / 443 으로 하는 이유 본문
728x90
localhost의 기본포트가 3000으로 시작하는 것처럼
http의 기본포트가 80, https의 기본포트 443이기 때문이다!
기본 포트로 설정하면 굳이 포트번호를 입력하지않고 도메인만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왜 80이고 443인지는 이유가 쪼금 귀여웠다. 그냥 그 때 당시 해당 포트번호들이 빈값이었기 때문!ㅎㅎ
80
- HTTP가 문서화되기 이전부터 보통 사용하지 않는 빈 포트 번호였다.
- 1991년 HTTP 0.9 버전에서 처음으로 문서화되면서 기본 포트로 지정되었다.
443
- RFC 1700 이전까지는 빈 포트 번호였다.
- Kipp E.B. Hickman의 요청으로 1994년 10월에 RFC 1700 문서에 443이 추가되었다.
- 443인 이유는 빈 칸에 순서대로 배정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 같다.
기존과 다르게 특정 포트 번호를 붙여줘야 도메인 접속이 가능하다는 이의가 제시되었다.
알아보니 기존의 사용하던 포트번호와 다른 포트번호로 npm start가 됐기 때문!
포트번호를 변경해주고 다시 npm start를 해주니 기존처럼 포트번호 없이도 도메인 접속이 잘 되었다.
나처럼 만약 port 번호를 변경해야하는 경우에는
set port = //바꿀 port 번호//
로 포트 번호를 변경한 후에 `npm start`하면 된다!
🔽 참고
728x90
'What I Learned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Git 연동하는 10K 없애는 방법 (VER. 윈도우) (0) | 2022.12.23 |
---|---|
한글 입력시 왼쪽 상단에 글자입력되면서 밀리는 경우 해결방법 (0) | 2022.12.19 |
[git] master -> main 병합하기 (0) | 2022.12.12 |
[git] React CRA와 git 연동하는 방법 (0) | 2022.12.01 |
[git] convention message & gitmoji (0)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