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hat I Learned (116)
우당탕탕 개발일기
오늘의 첫번째 담당 문제. 뭔가 신박해보이는 문제가 나왔다. 토요일에 머리가 꽉 찬 상태로 보려고 하니 전혀 읽히지 않았던 문제!ㅎ 오늘 차근차근 뜯어보니 n의 숫자만큼 문자열을 반복해야 하니까 'for문'을 사용. 단 '길이'가 n이라고 했으므로 for문에서 n.length가 아니라 그냥 n사용. 반복해서 단어를 표현해야하므로 '별 찍기 활용' 로 이해를 하고, 일단 코드부터 작성해보기로 했다. 💡 나의 코드 function solution(n) { var answer = ''; var word = '수박' for (let i=0; i
오전에는 안풀리는 문제들 투성이라 살짝 우울해져있었는데 오후 문제는 엄청 쉬운 문제를 만났다 😙 너무 쉽게 풀려서 약간 '엥?'스러울 정도! 친절하게 내적이 어떤 공식이 알려주는 착하디 착한 문제.. 그래도 문제만 덜렁 봤을 때는 사실 잘 공식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바로 입출력 예를 봤다. 역시나, 입출력 보니까 이해가 빡! 두 개의 배열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요소들끼리 곱하고 그걸 싹 다 더하는게 포인트 ! 역시나 for문이 사용된다. 할당받은 문제들이 전체적으로 for문이 빠지지를 않는다! . . . 💡나의 코드 f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0; for (let i=0; i
지독하다 지독해. 아침부터 지독한 문제를 만났다. 입출력 예를 찬찬히 뜯어보니 x값부터 시작해 x * n값까지의 숫자들의 나열을 구하라는 것이므로 '반복문' 사용될 것 같은 느낌 빡! 문제는 이 이해한걸 어떻게 코드로 변환하지..? 😂 첫번째로 정리했던 나의 코드 💡 function solution(x, n) { var answer = []; for (var i=1; i
내 담당 문제가 아니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감을 못잡겠어서 최단 시간 구글링하고 정리하는 문제 🤯 슥 봤을 때는 이렇게까지 이해가 안될 줄은 몰랐는데.. ! for문, if문이 사용되는 건 알겠는데 곱씹을수록 알쏭달쏭하다. 입출력을 보는데 느낌이 쎄해졌다. 지금까지는 입출력을 보면 어떻게 해야할 지 대충 구성이 잡히는데 요건 영 생각이 나지 않는다. 저녁먹느라 한 템포 쉬고 와서 그런가 ? 💡나의 코드💡랄 것도 없다. for문만 만 적어두고 멍... 문제 그대로, 없는 값을 찾아서 그 값들의 합을 구한다. 0~9인 numbers의 총합인 45에서 있는 값들의 합을 뺀다. 요런 느낌으로 해보고 싶었는데 그래서.. 없는 값을 어떻게 구한다고....? 🙄 . . . 1시간동안 노트에 끙끙대다가 결국 구글링의 ..
내 담당 두 번째 문제! 난이도 하에 해당되는 음양더하기인데.. 흠 글쎄. 왕초보인 내가 보기엔 머리가 멍해진다. 문제를 차근차근 뜯어보며 문제부터 이해하려고 했다. (배열 안에 들어있는) 정수들의 합을 구하라고 했으니 : '반복문' 사용 당첨 boolean이란 말이 있으니 true/false를 구해야 하므로 : 'if문' 당첨 결론 = '반복문'과 'if문'을 잘 버무려야 한다! 입출력 예를 보면 이해가 쏙쏙..! . . . 머리 굴리다가 내가 정리한 코드는 💡 function solution(absolutes, signs) { let answer = ''; for (let i = 0 ; i < absolutes.length; i++) { if (signs[i] == true) { answer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