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2

모던 자바스크립트 11.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1. 원시 타입 - 변경 불가능한 값(읽기 전용[readOnly]) let str = 'string'; str[0] = 'S'; // 문자열은 원시값이라서 변경할 수 없다. 에러도 발생하지 않는다. console.log(str); // string - 원시 타입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실제 값이 저장된다. -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시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값에 의한 전달) - '재할당'을 제외하곤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 X = 예기치 못한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다 = 데이터 신뢰성을 보장한다 cf. 재할당은 기존 문자열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자열을 새롭게 할당하는 것이기 때문. let str = 'hello'; // 식별자(변수) str은 문자열 'hello'가 ..

모던 자바스크립트 10. 객체 리터럴

1. 객체와 객체 리터럴 객체란 중괄호({})로 감싸져있으며 그 안에 '프로퍼티 키: 프로퍼티 값' 으로 구성되는 프로퍼티의 집합. 변경 불가능한, 단 하나의 값만 나타내는 원시형과는 달리 객체는 변경 가능하며 다양한 타입의 값을 담을 수 있다. 리터럴이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하여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객체 리터럴이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표기법을 의미한다. 객체 리터럴은 중괄호({}) 내에 0개 이상의 프로퍼티를 정의한다. // 1. 객체 리터럴 문법 let user = {}; // 2. 참고로, 객체 생성자(new)를 이용해서 객체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let user = new Object(); 2. 프로퍼티 키 (프로퍼티)키 === (프로퍼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