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hat I Learned/etc. (27)
우당탕탕 개발일기
OCR은 사람이 직접 입력하지 않고 스캐너를 통해 이미지 형태로 읽어들여 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림 영역과 글자 영역으로 구분한 후 글자 영역의 문자들을 일반 문서 편집기에 수정, 편집이 가능한 텍스트의 형태로 변환하여 주는 자동 입력 시스템 https://cvml.tistory.com/16 [#00] OCR? 딥러닝을 이용해 문자 인식하기 - 개념 정리 OCR -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은 사람이 직접 입력하지 않고 스캐너를 통해 이미지 형태로 읽어들여 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림 영역과 글자 영역으로 구분한 후 글자 영역의 문자들을 일 cvml.tistory.com https://junstar92.tistory.com/154 한글 음절 인식기(OCR) Git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wsSj3/btrxED5Li8j/o7TZ6KEsTKGUSzyYMtF0yk/img.png)
이진(이분) 탐색(Binary Search)이란 - 정렬되어있는 배열에서 데이터를 찾으려고 할 때 탐색 범위를 절반씩 줄여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법이다. - '정렬되어있는 배열'이 필수 조건! 구현할 때 배열을 정렬시키는게 먼저 이루어져야한다. - 시작과 끝, 그리고 그 중간을 나타내는 변수를 사용하여 탐색한다. left, right, mid 내지는 start, end, mid를 사용하는 듯 하다! 탐색 과정 찾으려는 데이터와 중간점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것이 이진 탐색의 과정이다. 구현 과정은 1️⃣ 우선 데이터를 정렬한다(필수!!) 2️⃣ 시작값(start)과 끝값(end)으로 중간값(mid)을 구한다. 3️⃣ 이 mid와 구할 값을 비교한다. ☑️ 구할 값..
요새 cs 스터디에서 면접 예상 질문 내용으로 스터디를 진행하다보니, 낯익은 것들이 많이 나온다. 공부 초반에 그냥 쓰라고 하니까 썼던 것들이 정체가 무엇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점차 알아가고 있는 기분! 오늘은 GET, POST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읽으면서 `그래서 이게 뭐지?`싶은 것들도 설명해주신 친절한 글! 📍참고 https://velog.io/@songyouhyun/Get%EA%B3%BC-Post%EC%9D%98-%EC%B0%A8%EC%9D%B4%EB%A5%BC-%EC%95%84%EC%8B%9C%EB%82%98%EC%9A%94 Get과 Post의 차이를 아시나요? 제 질문에 답을 하지 못하겠다면, 이 글을 읽어보시는 걸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velog.io
import firebase from 'firebase/compat/app'; import 'firebase/compat/auth'; import 'firebase/compat/firestore'; firebase의 버전에 따라 import 오류가 뜨기도 했다. compat을 붙여주면 v9에서 사용하는 import가 된다
라이프사이클 https://ljh86029926.gitbook.io/coding-apple-react/2/undefined-1/what-is-life-cycle 라이프 사이클이 뭔데? - React 컴포넌트의 변경이 완료되었을 때에 수행되는 메소드 입니다. 이 메소드는 조금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최적화 되어있는 메소드 인데요, render메소드가 실행되어 업데이트 된 state, props와 업 ljh86029926.gitbook.io 클래스의 문법이 어렵다, 축소가 어렵다 등의 이유로 클래스형에서 함수형 컴포넌트로 변경되는 추세다. 리랙트 훅이란 함수형태의 컴포넌트에서 사용되는 몇가지 기술들을 훅(Hook)이라 부른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는 useState, 그리고 렌더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