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hat I Learned (116)
우당탕탕 개발일기
OCR은 사람이 직접 입력하지 않고 스캐너를 통해 이미지 형태로 읽어들여 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림 영역과 글자 영역으로 구분한 후 글자 영역의 문자들을 일반 문서 편집기에 수정, 편집이 가능한 텍스트의 형태로 변환하여 주는 자동 입력 시스템 https://cvml.tistory.com/16 [#00] OCR? 딥러닝을 이용해 문자 인식하기 - 개념 정리 OCR -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은 사람이 직접 입력하지 않고 스캐너를 통해 이미지 형태로 읽어들여 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림 영역과 글자 영역으로 구분한 후 글자 영역의 문자들을 일 cvml.tistory.com https://junstar92.tistory.com/154 한글 음절 인식기(OCR) Gith..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9 11729번: 하노이 탑 이동 순서 세 개의 장대가 있고 첫 번째 장대에는 반경이 서로 다른 n개의 원판이 쌓여 있다. 각 원판은 반경이 큰 순서대로 쌓여있다. 이제 수도승들이 다음 규칙에 따라 첫 번째 장대에서 세 번째 장대로 www.acmicpc.net ✍🏻 풀이 옛날에 재밌게 했던 컵에 있는 물 옮겨담는 게임같은 느낌! 예제와 출력을 통해 어떤 것을 구해야하는지 파악부터 했다. 3 입력값 3은 첫째 줄에 첫 번째 장대에 쌓인 원판의 개수 N (1 ≤ N ≤ 20)을 의미한다. 이걸 세번째 장대에 옮기는 횟수와 옮긴 과정(장대 번호, 옮긴 원판 번호) 을 출력하면 된다. 7 1 3 1 2 3 2 1 3 2 1 2 3 1 3 ..
이진(이분) 탐색(Binary Search)이란 - 정렬되어있는 배열에서 데이터를 찾으려고 할 때 탐색 범위를 절반씩 줄여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법이다. - '정렬되어있는 배열'이 필수 조건! 구현할 때 배열을 정렬시키는게 먼저 이루어져야한다. - 시작과 끝, 그리고 그 중간을 나타내는 변수를 사용하여 탐색한다. left, right, mid 내지는 start, end, mid를 사용하는 듯 하다! 탐색 과정 찾으려는 데이터와 중간점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것이 이진 탐색의 과정이다. 구현 과정은 1️⃣ 우선 데이터를 정렬한다(필수!!) 2️⃣ 시작값(start)과 끝값(end)으로 중간값(mid)을 구한다. 3️⃣ 이 mid와 구할 값을 비교한다. ☑️ 구할 값..
카카오 로그인은 늘 해보고싶었지만 항상 시간에 치여 시도못했던 기능이었는데 이번 실전프로젝트 때 맡게 되었다! 레퍼런스들을 찾아보면서 어렵다는 글들이 유독 많이 보여서 겁을 잔뜩 먹고 시작했는데 다행히 다른 분들의 시행착오가 담긴 친절한 포스트들이 많아서 금방 해결할 수 있었다! 걱정금지🙅🏻♀️ 카카오 로그인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내가 했던 것은 JavaScript SDK를 이용한 팝업 방식의 로그인! 그리고 카카오 사용자 정보에서 닉네임을 받아와서 사용했다. 🔗 JavaScript SDK 문서 그냥,, 구현하면서 내가 헷갈렸던 부분들을 그냥 휘뚜루마뚜루 정리해두려고한다..! 완전히 100% 이해를 하고 하는 것이 아니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구현하는데에 참고용으로 봐주셨으면 좋겠다! 카..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9184 9184번: 신나는 함수 실행 입력은 세 정수 a, b, c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입력의 마지막은 -1 -1 -1로 나타내며, 세 정수가 모두 -1인 경우는 입력의 마지막을 제외하면 없다. www.acmicpc.net 지 혼자만 냅다 신나버린 9184번 문제..🙂🔥 9184번은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을 이용해 푸는 전형적인 동적계획법(DP, Dynamic Programing) 문제라고 한다. * 동일한 문제를 반복해야 할 경우, 한 번 계산된 결과를 저장해 두었다가 활용하는 방식으로 중복 계산을 줄이는 것 ✍🏻 풀이 입력값 1 1 1 2 2 2 10 4 6 50 50 50 -1 7 1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