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hat I Learned (116)
우당탕탕 개발일기
규칙을 살펴보기 전, 숫자를 10으로 나누면 몫은 앞자리가, 나머지는 뒷자리가 되는 것을 한 번 더 떠올리고 들어가면 좋다! 26 / 10 = 몫: 2 / 나머지: 6 문제의 예시를 한 번 더 살펴보면, 26 → 2 + 6 = 8 → 68 입력값이 26인 경우, 2+6 = 8. 다음 수는 6이 10의 자리가 되고 8이 1의 자리가 되어서 68이 된다.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6+8 = 14. 다음 수는 8이 10의 자리가 되고 14의 오른쪽 수인 4가 1의 자리가 되어서 84가 된다. 여기서 입력값의 1의 자리는 다음 수의 10의 자리가 된다는 것, 각 자릿수의 합의 오른쪽 숫자가 1의 자리가 된다는 것이 포인트. 그럼 우리에게 필요한 과정은 1️⃣ 입력값의 10의 자리와 1의 자리를 뽑고, 2️⃣ 그걸 ..
현재 진행중인 실전 프로젝트에서 progressBar를 맡게 되었다. 구현을 하다보니 여러가지 공부를 해야하는 것들도 많아서, 기록용으로 이 게시물을 만들게 되었다. 일단 우당탕탕 정리하고, 추후 예쁘게 정리해 볼 예정! 📅 작업기간 22/03/02(수) ~ 22/03/06(일) ✏️ 구현 포인트 1️⃣ 유튜브 영상 시간에 따른 progress bar 2️⃣ 특정 %에 따른 메시지 출력 기능 3️⃣ 모든 사용자에게 동기화되어 있음 호출 스케줄링 : setInterval - setTimeout https://ko.javascript.info/settimeout-setinterval setTimeout과 setInterval을 이용한 호출 스케줄링 ko.javascript.info 현재 프로젝트에는 setI..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비율을 맞춰서 넣으려면 background-size: contain, div 에 꽉차게 넣으려면 background-size: cover - div 사이즈보다 이미지가 작은 경우, 이미지가 반복되므로 한 장만 보여주기 위해 background-repeat: no-repeat 📍 참고 https://multifidus.tistory.com/182 일정한 사이즈 div 안에 이미지 넣기 (잘리면서 꽉차게, 잘리지 않고 축소) +)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퍼블리싱 부분에서 가장 애를 먹었던 부분. 혹시 제가 놓친 점이나 더 좋은 방법, 다른 방법이 있다면 얼마든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1. 잘리면서 꽉차게 * 상위 d multifidus.tistory.com
요새 cs 스터디에서 면접 예상 질문 내용으로 스터디를 진행하다보니, 낯익은 것들이 많이 나온다. 공부 초반에 그냥 쓰라고 하니까 썼던 것들이 정체가 무엇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점차 알아가고 있는 기분! 오늘은 GET, POST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읽으면서 `그래서 이게 뭐지?`싶은 것들도 설명해주신 친절한 글! 📍참고 https://velog.io/@songyouhyun/Get%EA%B3%BC-Post%EC%9D%98-%EC%B0%A8%EC%9D%B4%EB%A5%BC-%EC%95%84%EC%8B%9C%EB%82%98%EC%9A%94 Get과 Post의 차이를 아시나요? 제 질문에 답을 하지 못하겠다면, 이 글을 읽어보시는 걸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