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22)
우당탕탕 개발일기
기본으로 나오는 크롬 뷰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간간히 파일명에 설정한 적 없는 정보가 노출될 때가 있었다.파일명인 줄 알았지만 단순 파일명이 아니었다.찾아보니, pdf에 있는 메타데이터가 있을 경우 뷰어에 우선적으로 노출된다고 했다.따라서 해당 부분을 없애려면 PDF에 설정되어있는 메타데이터를 없애야하는 것. 하지만 이미 수십개의 파일이 메타데이터가 설정된 채 pdf가 만들어져있어 해당 파일들의 메타데이터 제거 방법이 필요했다.다행히(?)도 관련 라이브러리가 있어서 활용했다!💡https://www.npmjs.com/package/exiftool-vendored exiftool-vendoredEfficient, cross-platform access to ExifTool. Latest version: 30..
1) 내 레포 클론하기git clone ${내 레포 주소} 2) 다른 레포를 ‘upstream’으로 등록하기git remote add upstream ${포크할 레포}## 확인하는 방법git remote -v # origin: 내 레포# upstream: 포크할 레포 3) upstream 변경사항 가져오기(fetch)git fetch upstreamupstream/main, upstream/feature-xxx 같은 브랜치 정보가 로컬에 생긴다. 4) upstream 브랜치를 내 브랜치에 병합하기 Merge 방식 (기존 커밋 그대로 합치기) 원본의 커밋 히스토리를 있는 그대로 보존.언제 어떤 코드가 합쳐졌는지(merge commit) 기록이 남음.git checkout main # --allow-unr..

나를 무려 이틀 반동안 골치아프게했던 문제가 해결되었다.생각보다 너무 어이없는 이유라서 티스토리에도 기록을 남겨본다.. ✅ 문제 상황React + Express로 개발 중, 새로운 메뉴를 추가해야만 했다.프론트 라우터에 새로운 경로를 등록했고, 백엔드에도 해당 API 및 미들웨어를 잘 붙여놨다.그런데 문제는...메뉴를 직접 클릭해서 이동하면 잘 되는데, 새로고침만 하면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가 발생하는 것!Error: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stat '...경로...\client\index.html' 🔍 문제 원인을 찾아서'spa 새로고침 404'로 검색하니 SPA 라우팅 문제라고 곧잘 내용이 정리되어있었다. Spring..
리눅스에서 파일을 옮길 때 명령어~를 까먹지 않기 위해 기록..cp ${복사할 폴더 경로}/${복사할 파일.확장자} ${붙여넣을 폴더 경로}/${붙여넣을 파일 이름.확장자} 폴더 경로가 헷갈렸는데 굳이 최상단까지 갈 필요는 없고~복사할 폴더와 붙여넣을 폴더가 모두 존재하는 폴더까지 위치를 이동한다음 ./로 시작하면 된다! 즉, rootFolder- folderA - haveToCopy.txt- folderB가 있는 경우 rootFolder까지 이동해서 cp ./rootFolder/folderA/haveToCopy.txt ./rootFolder/folderB/haveToPaste.txt 요 명령어 실행하면 된다!현재 위치가 애매~할땐 tab 눌러서 자동완성 되는 폴더명을 살펴보자구~

맥북에서 시작한 프로젝트를 윈도우에서 이어받아 하려고 하는데 코드에 갑자기 요상한 빨간 밑줄이, 그것도 엄청 많이 생겼다.찾아보니 운영체제에 따라 Carriage Return이 달라 발생하는 문제여서 한 쪽으로 맞춰줘야한다고 한다.1. CRLF (Carriage Return + Line Feed)표현 방식: \r\n (CR + LF)CR: Carriage Return. 커서를 가장 왼쪽으로 이동.LF: Line Feed. 다음 줄로 이동.사용 운영 체제: Windows.2. LF (Line Feed)표현 방식: \n (LF만 사용)LF: 다음 줄로 이동.사용 운영 체제: Unix 계열 (macOS, Linux). 윈도우는 과거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에서 사용하던 CR(줄의 시작)과 LF(다음 줄로 이동)을..